대학교수를 위한 학과, 학생을 위한 학과

제목을 잘 이해하지 못하시는 분들도 많으실 겁니다만, 대학에는 분명히 대학교수들의 밥줄을 위해 만들어지고, 또 그걸 목표로 운용되는 학과가 많습니다. 반면 학생들을 위해 운용되고 만들어지는 학과도 분명히 있다고 믿습니다.

이 둘의 차이는 간단합니다. 4년이라는 시간을 투자할 가치가 있는 학과인지, 아니면 그 가치가 부족한 학과인지가 그것입니다.

대학교에서 어떤 학과가 인기가 없어서 학생들이 들어오지 않아 항상 미달이 되면, 그냥 미달이고 등록금장사가 안되는 걸로 끝나는 게 아닙니다. 정부에서는 그런 부실학과를 적발해서 그 과를 개설하지 못하게 인가를 취소해 버리거나, 국공립이라면 대학교수의 수를 줄여 버립니다. 즉 학과가 인기가 없으면 해당학과의 교수는 밥줄이 위태로워 지는 걸 떠나, 아예 학교에서 퇴출당해 버릴 수도 있다는 거지요. 이건 해당 교수의 실력이 있고 없고의 문제가 아닙니다.

이걸로만 끝나면 다행이고, 아예 종합대학의 인가가 취소되고 단과대학으로 격하되어 버리는 수도 있습니다. 이정도가 되면 대학 차원에서는 뭔가 대책을 강구하지 않을 수가 없게 됩니다.

그런 여러가지 대책 들 중 하나가 대학에 지원하게 될 학생들을 상대로 삐끼질을 하는 겁니다. 아주 그럴싸한 학과명을 생각해서 신설하는 거죠. 아니면 전원 취업보장 같은 헛소리를 입시설명회에서 씨부리거나,, 그렇다면 이렇게 입학한 학생들의 뒷일은? 당연히 학생들이 알아서 책임지는 거지 대학이 책임질 일이 아니죠. 기존의 학과들도 다른 건 없습니다. 대책없이 명패만 달아놓고 학생들의 교육 자체에는 손놓고 팔짱만 끼는 일부 학교의 유명 학과들이 과연 해당 학과의 이름값을 다 할 수는 없겠지요.

지금은 이름이 바뀌었지만, 전문대에서 2년이면 곧바로 직업교육을 받고서 취업할 수 있는 비교적 단순한 직업훈련에 속한 것들을 거창한 학문인 양 내세우면서 4년제 종합대학에서 가르치는 것도 사실은 등록금장사에 교수들 밥벌이의 측면이라고 보아야 합니다. 왜 2년이면 될 것을 구태여 4년이라는 시간과 막대한 등록금을 지불해 가며 배워야겠습니까? 호텔경영학과니, 이런 과들이 단과대가 아닌 종합대학에 학과로 버젓이 등록되어 있는 것도 졸업해서 사회에 나갈 학생들의 입장에서는 부조리한 에러라고 봐야 합니다.

대학교에서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난해한 문제나 함정을 파놓는 문제를 출제하면서 학생들의 한숨소리를 즐기는 교수들의 행태를 매우매우 저속한 은어로 강간한다,, 교수들에게 강간당했다고 표현하기는 합니다만, 이런 대학들의 학과들은 이미 들어가는 것 그 자체부터 졸업한 이후까지 내내 지속적으로 교수들에게 강간당하고 사는 것과 다를 것이 없는 것이죠.

반면, 학생을 위한 학과라는 개념도 분명히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들어가기가 힘들고, 들어가서도 탈락율이 많아 졸업하기가 힘들더라도, 일단 졸업하기만 하면 자기가 배웠던 것을 가지고 소신껏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학과가 그런 것이죠.

의사들의 삶이 요즘 팍팍해 지다 보니 신설의대에 대한 견제와 감시의 눈길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의무사항이 아니었지만, 의사협회에서 주도해 의대인정평가협회라는 단체를 만들어서 수년 째, 각 의과대학의 모든 측면들을 평가하고 수치화 해서 과연 의사를 길러낼 수 있는 수준의 의대가 맞는지 2,3년 단위로 인증을 해주고 있습니다. 당장은 강제성이 없지만, 이런 결과를 공개하다 보니 자연 인지도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가 없게 되었고, 각 의대에서는 훌륭한 교수인력을 확보하고 시설과 장비를 확충하려고 혈안이 되어 있습니다.

일부 수준 낮은 대학에서는 그런 인증을 받을 상황이 안되다 보니 아예 평가를 거부하는 일이 벌어지고, 이제 의사협회에서는 그렇게 거부하거나 인증을 받지 못하는 부실 의대에서 졸업하는 졸업생들에게 전공의 시험에 패널티를 주자는 의견까지 거론되고 있다고 합니다. 이게 정말로 실현될지 어떨지는 모르지만, 그런 식의 의견이 전문의 수련과 교육을 주관하는 대한의학회에서 거론되고 있다는 기사가 며칠 전 개제되었습니다.

이정도 까지 일이 벌어진 거라면, 이미 애초의 인정평가의 취지와는 달리 의협과 보건복지부가 한 편, 그리고 반대편에선 대학교 및 교육부가 다른 한편이 되어서 의대정원이라는 첨예한 밥그릇을 놓고서 한판 힘겨루기를 하는 양상으로 변질되어 버린 상황입니다만, 제가 말하고자 하는 건 그런 밥그릇싸움이 아닙니다.

이렇게 학과를 졸업한 졸업생들이 무슨 계기를 통해서든 한 데 뭉쳐서 전국적으로 통일된 의견을 내어서 해당 학과에게 자신들의 요구를 제시하고 압박하다 보니 지금의 의과대학들은 학생들을 훌륭한 의사로 키워내기 위한 인프라 구축에 최소한 시늉으로라도 매진할 수 없게 되었다는 겁니다.

이런 식의 변화들이 계속해서 축적된다면, 의대와 다른 학과와의 격차는 지금보다도 훨씬 더 커지게 될 수 밖에 없는 것이죠.

물론, 의대와 일반 학과를 어떻게 단순무식하게 동일선상에 놓고 비교할 수 있겠느냐는 반문이 있겠지만, 굳이 의대가 아니더라도 상대적으로 잘 나가는 학과들이 몇년만 지나면 전망이 어두운 좌절스런 학과, 기피대상으로 변하게 되는 원인을 이런 데에서 찾아야 하지 않는가 하는 생각입니다. 그런 학과들은 졸업생들이 똘똘 뭉쳐서 전국단위로 자신들의 학과를 좀 천박하게 말하면 물관리를 하지 않는 학과들은 아무리 잘나가도 몇년 가기 어렵고, 이들의 후배들은 자신들의 전공을 살려서는 결코 생활을 영위하지 못하게 되는 게 필연일 겁니다.

그렇다면 지금 당장 전망이 어려운 과에 재학중인 학생들은 어쩌란 말이고, 이미 졸업해 버린 졸업생들은 어떻게 하라는 말인가,,, 제가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이유는 이 분들이 아닌, 고등학교나 중학교에 재학중이거나 재수인 후배님들의 학과선택에 대한 조언을 하려는 데 있으므로 저도 여기에 대해 드릴 수 있는 답 같은 것은 없습니다. 저는 지금 어떤 학과를 선택할 까 고민하시는 분들에게 과 이름이이나 삐끼질에 현혹되지 말고 냉정하게 생각해서 대학교수를 위해 만들어지는 학과를 선택하지 말라고 충고하고픈 것 뿐이니까요. 정말로 절실하게 문제점을 인식했다면 단결해서 뭐든 대안을 만들어 나가야 겠지요. 다만 내가 지금 어려운 게 위정자들 탓이라거나, 경제 탓이라거나, 자기 자신이 무능해서라거나 하는 스스로 통제할 수 없는 데에 책임을 돌리며 가만히 있는 것 보다는 서로서로 공감대를 형성하고 인식을 공유하면서 단결하고 인내하며 힘을 모아가면 바꾸어 나갈 수 있는 그러한 정치적인 관점에서 찾아나가는 것이 훨씬 생산적인 것이 아닐까 하는 말씀은 드릴 수 있겠습니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