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의 지붕쪽 병변들을 초음파로 확인하지 못했던 사례

00161944_US_20170929297_20170929_004

이번 사례는 78세 남자환자로, 담낭절제술을 시행했던 환자부의 간초음파영상입니다. 간 좌엽에는 별다른 병변이 보이지 않았고, 확인하지 못한 부위도 없었습니다.

00161944_US_20170929297_20170929_005

그런데, 간 우엽의 지붕부위는 제대로 확인하지 못한 부분이 존재합니다. 위 영상이 간의 지붕부위를 찍은 영상이지만, 지붕부위의 일부분이 잘려있습니다. 누워있는 자세와 좌측 측와위자세에서 시도해봤지만, 이보다 위쪽을 보는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 환자는 초음파영상을 하기 며칠 전에 우상복부의 불편한 느낌과 약간의 압통을 호소하여,  담도결석의 재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CT를 촬영했던 상태였습니다. 해당 CT 영상에서 간 우엽에 간내석회화와 단순낭종의 존재를 이미 발견해서 알고 있었던 상태였습니다.

00161944_CT_20170919128_20170919_001

원래 초음파영상을 시행하기 전부터 해당 병변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음에도 간내석회화나 간낭종 여부를 확인하는게 어려웠던 겁니다.

00161944_US_20170929297_20170929_006

마지막까지 간의 지붕부위를 보기 위해 노력해서 얻은게 위 영상입니다. 간의 지붕부위가 여전히 잘 그려지지 않을뿐 아니라, 앞서 CT에서 보였던 1센티미터 크기의 낭종도 보이지 않습니다. 간내석회화는 하나를 찾아서 표시를 했지만, 이 병변이 정말로 석회화음영인지 또한 후방에코음영이 보이지 않으므로 확실하다고 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 검사를 한 때는 작년 상반기였습니다. 이처럼 좌측측와위 자세에서 갈비뼈 사이로 탐촉자를 위치하는 것만으로는 간의 지붕부위 및 간우엽을 제대로 보는게 어려웠던 사례가 종종 있었기 때문에 지금처럼 좌측 측와위 이외의 다양한 자세를 시도하게 되었습니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