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세 남자가 손목 근처의 손등에서 발생한 종괴를 진단하기 위해 초음파를 시행하였습니다. 위 영상에서처럼 에코가 존재하지 않는 낭종성 병변이 Rt. 2nd extensor tendon을 둘러싸면서 존재합니다.
낭종성 병변은 더 깊이 들어가면서 Rt. 2nd & 3rd metacarpal bone 사이의 공간과 연결되고 있습니다.
힘줄과 같은 방향으로 탐촉자를 위치해서 얻은 영상에서 낭종성 병변이 힘줄을 둘러싸고 있습니다. 영상에서는 또렷하지 않지만, 위 영상에서도 낭성병변은 더 깊이 들어가면서 carphometacarpal joint space와 연결이 되어 있었습니다.
초음파에서 전형적인 결절종소견을 보여 이를 제거하는 수술을 받은 후 4일만에 다시 크게 불거져나와서 지켜보다, 수술 1개월 후에 다시 내원해서 시행한 초음파영상입니다.
수술로 봉합한 흔적이 피부와 피하지방층에 보이고, 예전에 수술했던 부위에 저에코음영의 물질이 가득차 있습니다. 이 물질은 앞서 보였던것처럼 carphometacarpal joint와 이어져 있습니다.
횡단면 영상에서는 앞서 결절종이 존재했던 2nd extensor tendon 주위에는 저에코음영의 물질이 많지 않았지만, 2nd & 3rd metacarpal bones 사이의 공간과 3rd extensor tendon주변에는 저에코음영의 물질이 가득 차있으면서 완전히 호전되지 않은 피부 및 피하지방층의 부종과 함께 커다랗게 튀어나와있는 형태를 만드는데 일조하고 있습니다.
위치는 좀 더 근위부에 있는 결절종이지만, 손등쪽 근처에 있는 결절종의 제거수술 동영상입니다. 이처럼 관절과 연결되어있는 결절종의 경우, 연결되있는 joint capsule까지 incision을 하고, 관절강 내의 젤라틴 내용물까지 완전히 제거하는 작업이 수술에서 필요하기 때문에, 초음파영상을 통한 결절종의 진단은 수술계획을 세울 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서 수술의 성공,실패 여부 뿐 아니라 합병증여부까지 진단할 수 있기 때문에, 결절종, 즉 ganglion cyst를 다룰 때 초음파영상은 매우 유용하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