늑골에 발생한 전이암의 초음파영상 사례

 

00219216_US_20170310108_20170310_005

57세 남자환자로, 수술이 불가능할정도로 퍼진 간암이 진단되어 요양 중 우측 흉벽에 통증을 동반한 종괴가 만져져 내원하셨습니다. 초음파영상에서 우측 8번 늑골의 끝부분에 풍선처럼 부풀어오른 종괴가 보였고,  근초 갈비뼈의 피골을 파괴시키는 양상이었습니다.

00219216_US_20170310108_20170310_004

도플러영상에서 종괴는 혈관이 매우 풍부했지만, 내부에 괴사나 석회화같은 이차적인 변회소견은 없었습니다.

환자는 3주 후 전신상태가 급격하게 악화되었으며, 이 때 촬영한 CT영상에서 간암과 악성 문맥혈전증 및 우측 흉벽에 조영증강이 잘 되는 종괴가 보입니다. 초음파영상을 한 후 3주가 지난 후에 촬영한 CT영상임에도 불구하고, 초음파영상에서 잘 보여주었던 골파괴양상이 뚜렷하게 보이지 않을 뿐 아니라, 전이암의 정확한 발생위치도 알기 어렵습니다. 초음파영상에서는 8번째 늑골의 끝부분, 즉 연골-늑골 접합부에서 발생한 종괴라는 걸 쉽게 알 수 있었음에도, CT에서는 전이암의 정확한 기원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흉벽이나 피부 근처 얕은 곳에 발생하는 종양의 경우 초음파영상은 CT에 비해 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