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영상은 64세 여자환자로 우측 유방에 만져지는 병변이 있어 초음파영상을 시행한 것입니다. 경계가 분명하고 저에코의 불균질한 에코음영의 종괴가 우측 유방의 intra-lobular fat layer에 보입니다.
컬러도플러초음파영상에서는 별다른 신호가 보이지 않습니다.
우측 유방 외에 우측 액와부위도 비슷한 모양과 에코음영의 종괴가 보입니다. 마찬가지로, 컬러도플러영상에서 뚜렷한 신호는 보이지 않습니다.
이 외에도 비슷한 소견을 보이는 종괴가 우측 복벽이나 흉벽등의 피하지방층에서 다수 관찰됩니다.
주로 피하지방층 및 intra-mammary fat 층에 다발성으로 발생하며, 컬러도플러영상에서 신호가 보이지 않는 병변으로 감별할만한 질환들은 myofibroblast cell infiltrations, multifocal panniculitis, metastases등이 있습니다.
이 환자는 우측유방의 종괴를 떼어내서 조직검사를 한 결과 malignant lymphoma로 진단되었습니다.
통상적으로 악성 림프종은 대게 컬러도플러영상에서 매우 혈관이 풍부하기 때문에 도플러영상이 매우 중요하며, hypervascular, well-circumbscribed mass가 특징적인 초음파영상소견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이번 사례는 컬러도플러영상에서 vascularity가 확인되지 않아 진단이 쉽지 않았던 경우입니다.
앞으로도 피하지방층에 다발성의 종괴가 이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면, 컬러도플러영상에서 혈관신호가 보이지 않더라도 악성 림프종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도록 주의해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