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분간 투자를 쉽니다

갑자기 무슨 힘든 일이 생겨서 투자를 못하는 건 아니고, 코스피 지수가 2,000에 다다른 지금 상황에서 앞으로 어디에 투자를 해야할까를 돌아보니 마땅히 투자할 곳이 안보입니다.

시장을 안좋게 본다는게 아니라, 지금까지 제가 공부하고 고민해서 투자했던 종목들이 어느정도 성과를 보인 이후 주가가 추가로 상승을 하지 않고 지지부진한 상태에 접어들었습니다. 한마디로 지금까지 공부한걸로는 이미 벌만큼 벌었다는 거지요. 절대적인 액수로 따지면 정말 보잘것없는 액수지만, 수익률로 따지면 제 개인적으로는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원화계좌의 연초대비 수익률은 9.58%, 달러계좌에서 벌어둔거까지 합치면 20% 수익률입니다. 여기서 제대로 공부도 않고 뭘 더먹으려다가는 체하기 십상인 국면이라고 생각되네요.

돌이켜보면, 20% 수익률 중 10% 수익은 TVIX 매매로 너무 마음고생하면서 거둔 수익이라 이렇게 또 하고 싶지는 않고, 나머지 10% 수익률 올린게 보람찹니다. 현금 많이 확보해놨다가 3월 폭락장에 리밸런싱으로 번거거든요. 문제는 나름 고민하고 고생해서 종목을 선정했는데, 정작 종목들 자체의 상승률은 시장평균 대비 매우 저조했다는 점입니다. 이게 제게는 적잖이 충격이에요.

하기사, 크게 반등할 종목을 고른게 아니라 소심하고 쫄보인 제 성격에도 끝까지 계속 들고 있을 종목을 골랐기 때문에, 폭락장 중에도 별로 낙폭이 크지 않았던 종목들입니다. 그런만큼 반등폭도 그만큼 작았던 거지만, 시장 전체적으로 이렇게까지 빠르고 강하게 반등하리라고는 생각도 못했습니다. 이제부터는 어찌될지 정말 짐작도 못하겠습니다. 이렇게 불확실성이 짙어진 상황에서 뭔가 제대로 된 공부나 기다림이 없이 섯불리 움직이는건 뭐랄까,,, 지금까지 열심히 투자공부를 해왔던 저 자신에 대한 자기부정 같아요.

그렇다고 해서 모든 주식을 다 팔아치우고 전액 현금화하는건 그것 나름으로 시장이 망가질거라는 데에 올인하는 과잉확신인지라, 현재는 주식 50%, 현금 50% 이렇게 맞춰놓은 상태입니다.

앞으로 공부할 부분은 종목에 대한 것 보다도, 국제정세에 대한 부분입니다. 현재 저물가와 달러강세기조가 앞으로 어떻게 변할까를 예측한다면 거기에서 큰 기회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엊그제까지 금 인버스에 손을 좀 댔다가 처분했는데, 달러가 내년에 지금보다 더 강세가 된다면 금 인버스를, 약세로 돌아선다면 레버리지가 유망할것 같습니다. 왜 그렇게 생각을 하느냐면, 원유 etn처럼 가격이 왜곡되있거나 콘탱고가 심한 상황이 아니고, 지수인버스나 레버리지처럼 장기간 보유시 치뤄야 할 리스크가 크지 않기 때문입니다. 금 시세라는게 어떤 트리거가 발생해서 급격하게 한번에 움직이기 전까지는 가격이 잘 안움직이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그래서 상당기간 포지션을 잡고 버티는게 다른 상품들보다 훨씬 쉽습니다.

사람들이 금을 상방으로만 많이들 생각하는데, 이게 생각만큼 단순한 문제가 아닙니다. 제3세계 중앙은행들이 달러가 강해지면, 부채상환을 위해 제일 먼저 팔아야 하는게 금이거든요. 실제로 각국 중앙은행들이 금을 경쟁적으로 매입하던 올해 초까지의 추세가 많이 꺽이기도 했구요. 지금까지의 금값상승은 사실 투자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데 금을 넣는 유행 때문이라고 봐야 합니다. 레이 달리오의 사계절포트폴리오같은 행태가 세계적으로 유행하면서 금 수요를 늘린게 결과적으로 금가격 상승을 부추겼다는 거죠. 이런 추세가 계속될지 어떨지 아직 공부가 덜되서 잘 모르겠습니다. 지난 3월달의 폭락장에서 금이 더이상 주식 하락을 헷징해주는 안전자산으로 기능하지 못할수도 있다는 걸 보여준 적도 있으니까요.

달러화가 여기서 더 강해질까, 아니면 약해질까를 생각할 때 중요한 변수는 삼프로tv에서 오건영 프로가 설명해준 것처럼 연준이 yield curve controle 을 시행할 것인가와 미중무역갈등의 전개양상이 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 쪽으로 책도 읽고, hts 열어보지 않고 7월달까지는 푹 쉬면서 세상이 어찌 돌아가는지 지켜보려구요. 투자도 체력과 정신력이 계속 재충전되어야 성공적으로 할수 있습니다.다른 분들도 항상 휴식과 재충전을 잊지 말고 성공투자되시기 바랍니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