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금지의 효과

  1. 작년에 대주주 양도세과세 한도가 10억원이었습니다. 그런데 올해는 3억원으로 한도가 줄었습니다.
  2. 작년보다 올해 개인투자자가 늘었고, 3억원 넘는 개인투자자의 수와 절대 투자액수도 늘었습니다. 펀드를 환매해서 직접투자를 하는 사람이 늘은게 가장 큰 이유라고 생각됩니다. 이들이 연말 되기 전에 양도세 이슈로 보유주식을 처분할 가능성도 높고, 액수도 작년보다 훨씬 커질것으로 생각됩니다.
  3. 이 외에도 연말에는 주식을 팔아야 하는 사정을 가지고 있는 매매주체가 꽤 됩니다. 프랍트데이더들 중 일부가 성과금을 정산하기 위해서 그런다는 말고 있고,,, 반대로 연말에 주식을 반드시 사야 하는 경우는 하나밖에 없습니다. 다름아닌 공매도 투자자들입니다. 이들은 연말에 배당일 전에 주식을 숏커버링을 해놓아야 배당에 의한 손실(받은 배당금을 원래 주주에게 돌려주어야 합니다. 돈도 돈이지만 절차가 까다롭습니다.)을 보전할 수 있습니다.
  4. 그런데, 현재 공매도는 일부 LP들이나 예외종목을 제외하고는 금지되있는 상황입니다. 연말에 매도압력은 커져있는데, 그나마 매수해야 하는 수요가 사라진 상태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개인투자자들의 유동성으로 인해 10월과 11월에 지수가 크게 떨어지지 않고 지금수준을 유지하거나 더 올라간다고 한다면, 연기금 입장에서는 주식비중을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주식을 파는 쪽으로 돌아설 수 밖에 없을겁니다.

결론적으로, 지금부터는 어느정도 쎈 조정이 와야 연말에 폭락 가능성이 줄어드는 형국이 아닌가 합니다. 지금 코스피나 코스닥지수가 오르지 않는건 연말의 상황을 생각하면 그나마 다행이라고 봐야 한다는게 제 개인적인 입장입니다. 지금 시장이 불안하고 슬금슬금 떨어지는게 어찌보면 정말 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해주는 순작용이 될수도 있다는 겁니다. 지금부터 11월달까지 지수가 크게 오르게 되면, 정말이지 무시무시한 연말을 보내야 할수도 있다는거지요. 이걸 뒤집어서 보면 지금부터 11월달까지의 지수추이가 순조로운 상승세로 인해 코스피 2,500 언저리까지 가게 된다면, 본격적으로 인버스 투자를 해도 안전한 타이밍이 올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까지 이르게 되는것 같습니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