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닥 주도주들의 거래량

https://youtube.com/clip/UgkxnfVca-T79uSvlwl_sf5VcU9bX0Oem-lF

지금 미국 나스닥 주도주들이 꽤 많이 빠졌는데, 링크된 유투브영상을 보면 거래량은 여전히 약세장 때의 그것에 한참 못미친다고 합니다. 아마 마이클 버리는 이제 폭락장 초입단계다. 충격과 공포다 거지깽깽이들이다,,, 이런 말을 하려고 이런 데이터를 언급한 거겠지요. 그런데, 이 점을 곰곰이 생각해보면 마냥 패닉에만 빠질게 아니라는 결론도 내릴 수 있습니다.

역사상 폭락장 :

  1. 대중의 열광, 소액 참여자들의 급증
  2. 한방향으로 매매하는 개인투자자들로 인해 거품 형성
  3. 거품 붕괴와 주가 폭락, 소액투자자들이 버티기 어려운 환경(레버리지 청산, 불경기로 개인투자자들의 투자여력 실종)
  4. 엄청난 거래량으로 개인투자자 대다수가 탈출, 손바뀜이 일어남
  5. 바닥의 형성과 주가 회복

지금 나스닥 거래량이 역사상 폭락장의 10-15%에 불과하다는 사실은 아직 폭락장의 경로 중 4번과 5번을 거치지 않은 상태라는 걸 의미합니다. 아직은 3번도 완전히 진행하지 않고 초입단계라는 거지요. 이게 의미하는 건 두가지입니다.

  1. 만약 이번 나스닥하락이 역사적 폭락장의 서막이라고 가정한다면, 진정한 폭락은 아직 오지도 않았다.
  2. 지난 20년간의 나스닥 장기상승사이클 동안 3번에서 4번으로 진행된 적은 단 두 번 밖에 없었다(서브프라임, 코로나 판데믹). 이번이 세번째라고 단정할 근거는 어디에도 없다.

지금 많은 미국 투자자분들이 폭락에 가까운 하락에 신음하고 계십니다. 반톡막은 예사고 70%, 80% 손실을 보는 종목도 드물지 않은데 도대체 뭘 근거로 “지금은 거품 붕괴 제대로 오지도 않았다” 라거나 “이건 단순한 조정장에 불과할 수 있다”라고 말하느냐고 반박하실지 모르지만, 그건 이전까지 너무나 많은 유동성이 풀린 반동으로 주가가 너무 거침없이 올라갔던 것에 의한 반동입니다. 그래서 단순한 조정국면 정도로도 이렇게 큰 하락폭으로 사람들을 괴롭히고 있는거지요.

그럼에도, 기실 나스닥 주도주들인 애플, 구글, 테슬라 등등을 다 팔고 떠났다고 글을 올리는 분은 생각보다 많지 않습니다. 오히려 “분할매수”를 외치며 조금씩이나마 매수하는 분의 글이나 댓글들도 있는게 현재의 게시판 분위기입니다.

결국, 지금은 지금까지의 하락에 휘둘려서 팔거나 사거나 할 국면이 아니래고 봅니다. 가지고 있는 주식에 대한 확신이 있다면 팔지 말고, 정말로 싸다는 확신과 손실을 감내하겠다는 각오가 없다면 사지 말고 좀 더 지켜봐야 하는 국면이 아닌가 합니다. 지금은 롱도, 숏도 섯불리 판단하면 안됩니다.

유동성이 말라간다고 해서 무조건 확실하게 주식이 폭락하는 건 아닙니다. 벨류에이션이 매력적이면 폭락장이라도 얼마든지 주목을 받으며 상승할 수 있는거지요. 자고로 주식은 종목이고, 부동산은 타이밍이라지 않습니까? 내가 확신을 가지고 있는 주식이라면 여기서 더 떨어져도 버틸수 있어야 빛을 보는거지요. 그러기 위해서라도 지금 당장은 사거나 파는것 둘 다 조심하는게 유용한 전략이 될수 있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입니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