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초기 사이클 | 중기 사이클 | 후기 사이클 | 말기 사이클 |
경제성장 | 안정 | 증가율 증가 | 고점 도달 | 둔화 후 악화 |
신용성장 | 약간 성 | 가속적 증가 | 고점 도달 | 하락세 |
신용 스프레드 | 확대에서 축소 | 정상화 축소 | 축소에서 확대 | 대폭 확대 |
중앙은행 정책 | 완화 지향 | 완벽한 완화 | 긴축시작 | 긴축지속 |
인플레이션 압력 | 낮게 안정 | 완만한 상승 | 높은 상승세 | 하락 |
수익률 곡선 | 정상적 확대 | 평탄화 시작 | 역전 | 정상화 시작 |
보통 경기는 위의 표와 같이 4가지 국면으로 나눕니다. 조금 다른 분류로는 침체-회복-호황-후퇴의 4국면으로 나누기도 하지요. 어쨋던 중요한 건 지금 우리 경제 또는 세계경제가 어떤 국면에 와있는지를 파악하는 게 중요합니다. 그걸 파악해야 각 국면에 맞는 투자를 할 수 있는거지요.
예를 들어 매우 저금리가 이어지고 신용스프레드가 정점을 지나 줄어드는 경기확장국면(표에서는 중기 사이클)인데 경기민감주나 가치주 투자를 도전하는 건 자신에게 불리한 쪽으로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경기를 해서 이기겠다고 달려드는 격입니다. 정말로 종목선정에 자신이 있는 고수라면야 승산이 있겠지만, 평범한 투자자라면 손실을 보기 쉽습니다.
지금 세계경제는 미국을 필두로 후기사이클을 지나 말기사이클로 진행하고 있는 와중입니다. 4국면을 구분하는 여러가지 지표들을 보죠. 경제성장율은 뚜렷하게 둔화하고 있으며 올해의 성장율은 더 나빠질거라는 전망이 더 우세합니다. 장기간 금리인상의 여파로 유동성은 줄어들고 있으며 그동안 한껏 축소되었던 신용스프레드가 최근 SVB 파산을 시작으로 불거진 금융권의 불안에 빠르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압력은 원자재 가격하락, ISM제조업지표의 하락 등의 영향으로 빠르게 줄어들고 있는 중이며, 극심하게 벌어졌던 장단기금리역전이 최근의 단기국채금리 하락으로 역전폭이 빠르게 줄어들고 있지요.
어느 요소를 보아도 후기사이클에서 말기사이클로 이동하는 과정을 밟아나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지금 투자해야 할 종목은 대체로 말기사이클에 주목받는 종목들이어야 합니다.
후기 사이클에는 경기민감주나 원자재관련주가 주목을 받는게 보통이며, 실제로 시장에서도 이들 종목들의 주가가 많이 오르고 있는데, 지금 주식을 사야 한다면, 지금 주목받고 있는 이들이 아닌 가치주와 소외주와 같이 말기 사이클에 주목을 받는 종목들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