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워드 막스 메모(2023년4월17일)

믿고 보는 하워드 막스의 투자메모가 나왔습니다. 영어로 되어있는 원문 pdf는 오크트리 캐피탈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받을 수 있습니다.

https://www.oaktreecapital.com/insights/memo-podcast/lessons-from-silicon-valley-bank

내용이 좀 길고 영어로 되어 있어 요약본이 필요하신 분들을 위해 제가 간단히 요약해보겠습니다. 논조가 좀 무섭습니다.


SVB 파산은 특수한 경우였다

  1. SVB는 예금을 너무 많이 받아 대출수요를 상쇄하지 못함. 결국 남아도는 자산을 투자에 썼는데, 총자산의 절반을 써버림(다른 은행은 평균 4분의1만 투자)
  2. 투자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장기채권을 구입해놓고 이들 채권을 “만기보유목적(HTM)”자산으로 장부에 표시
  3. 그런데 연준의 기준금리인상으로 보유채권 가격이 하락하자 예금자들이 돈을 인출, 어쩔 수 없이 채권을 매각하다 보니 더이상 HTM으로 간주될 수 없어 “매각가능(AFS)”자산으로 다시 분류하면서 손실이 장부에 드러나버리며 부정적인 소문과 뱅크런을 촉발시킴
  4. 이런 SVB의 실패가 미국의 은행들에 만연해있는건 아님

키가 큰 사람이 얕은 개울물에서 익사할 수 있다. 레버리지를 끼고 투자하면 그렇게 될 수 있다.

2008년과 이번 2023년(SVB)의 가장 중요한 차이는 투자자와 금융기관이 주택담보대출에 대해 일시적인 광기를 경험했고 그것이 금융위기를 불러왔다는 사실이다. 이번에는 그런 광기에 취해있는 경험을 겪지 않았다.

크레딧스위스 은행의 매각으로 인해 불거진 AT1 증권은 기본적으로 속임수이다. 투자자들에게 마치 채권처럼 보이고 안전하다고 느껴지게 하지만, 사실은 채권이 아니었다. 투자자들은 채권이라 생각했지만 그들은 틀렸다.

눈에 보이는 방식으로 연결된 것 같지는 않지만, 최근의 4개은행의 위기는 상황을 뒤흔들 힘이 있었다. 시장에서 무서운 사건은 매우 강력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신용위기는 일반적으로 a) 마이너스 경제성장 b) 시장의 과잉 c) 부정적인 외부 충격 d) 투자자와 금융산업 종사자들의 공포 등에 의해 일어났다.

SVB의 파산은 앞으로 신생기업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금흐름이 MMF와 대형은행으로 쏠리고, 지역은행에 대한 감시가 강화되면 예금도피가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부동산의 주요 자금공급원인 지역은행들이 어려워지면 많은 지역에서 사무실 건물, 오프라인 상점, 심지어 다세대주택까지 압력을 받고 있는 것처럼 부동산 소유주와 개발업자에게 상황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상황은 앞으로이자율이 더이상 하락하기 어렵다는 현실과 맞물려 심각해질 수 있다.

그러나 심리가 절망으로 흔들릴 때 저렴한 사냥꾼과 자본 제공자가 더 나은 카드를 보유하고 더 나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것이다. 우리는 SVB의 붕괴가 그 초기단계라고 생각한다. 은행들이 상업용 부동산 대출에서 손실을 겪을지, 그 크기가 어느 정도일지는 아무도 모른다. 하지만 부동산 담보대출 연체가 언론에 크게 보도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최소한 이는 대출과 재융자 과정에 문제를 일으키고, 위험감이 높아진 느낌을 더욱 강조할 것이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