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이 버블인지 확인하는 방법

https://youtube.com/watch?v=hLeZ6Pk5lW4&si=EnSIkaIECMiOmarE 이효석 아카데미 클리프 애즈니스 소개영상 유투브 채널인 이효석아카데미에 나온 영상 중 한 장면입니다. 클리프 애즈니스라는 퀀트 투자자의 영상을 소개하는 대목인데, 자산시장에 거품이 남아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두가지 잣대에 대해 언급하고 있습니다. 시장이 지속 불가능한 가정을 하고 있는가?(지속 불가능한 가정을 가격에 선반영하고 있음) 비싼 주식과 싼 주식(성장주와 가치주)의 가치 괴리가 심한가? 개인적으로 굉장히 명확하고 간결한 잣대라고 …

지금이 버블인지 확인하는 방법 계속 읽기

크레딧스위스은행의 여파가 일부 아시아 은행으로,,,

https://www.swissinfo.ch/eng/riskiest-bonds-for-some-asian-banks-fall-by-record-on-credit-suisse-deal/48374242 기사에 나오는 DBS 그룹은 과거 싱가포르 개발은행이었다가 이름을 바꾼 금융사이고, 중국과 인도에 주로 투자를 해온 은행지주사입니다. 크레딧스위스 은행이 어려워지자 미국 재무부와 라가르드 유럽은행총재가 재빠르게 인수를 추진해서 크레딧스위스은행 자체의 리스크는 어느정도 불식되었지만, 크레딧스위스은행이 가지고 있던 각종 파생상품들에 대해서 인수할 회사인 UBS가 아야 사업부 폐쇄를 발표하자, 이들 파생상품들에 대한 가치가 계속 하라하기 시작하면서 영향을 아시아권 은행들이 …

크레딧스위스은행의 여파가 일부 아시아 은행으로,,, 계속 읽기

디버전스(divergence) – “내일의 금맥” 발췌

주요 금융회사들은 CDO를 비롯한 자산유동화증권과 CLO 등에 거액의 투자를 해놓고 있었는데, 그러한 증권에 담보가 된 기초자산은 대부분 신용등급이 낮은 것이었다. 연준은 2007년 8월부터 기준금리를 내리기 시작했다. 연준은 같은 해 가을에 두 채례 더 적극적으로 금리를 인하했고, 이어 2008년 1월에 두 차례, 그리고 3월에 또 한 차례 금리를 인하했다. 이로써 불과 7개월 만에 연방기금 금리는 5.25%에서 …

디버전스(divergence) – “내일의 금맥” 발췌 계속 읽기

이게 뭐하는 짓들일까요

http://www.fortun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283 https://stock.mk.co.kr/news/view/59554 지금 우리나라는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고통을 감수하고 기준금리를 올려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습니다. 빠르게 물가를 잡지 못하고 인플레이션이 장기화된다면, 이로 인해 미국과 유럽 선진국 대비 통화가치가 떨어지면서 인플레이션을 일으키는 연쇄작용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기껏 한국은행이 고민에 고민을 거듭해가며 기준금리를 올려놔도 대통령이 호통을 치고, 금감원장이 은행을 돌아다니면서 “고금리로 국민 이자 부담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

이게 뭐하는 짓들일까요 계속 읽기

지금 주의깊게 봐야 하는 지표

2023년3월15일 오후9시 주요 지표 상황 지금 S&P500 VIX지표가 10%가 넘게 올라가면서 불안해하는 분들이 계실지 모르겠습니다. 주식시장 하나만 보거나, 당장의 주식움직임만 보고 혼란에 빠지면 안됩니다. 어차피 지난주부터 역대 2번째로 큰 은행이 하루도 안되어 청산되버리는 엄청난 상황의 여파가 며칠 지나지도 않았는데 사라질 리 없는거죠. 이번 SVB파산으로 인해 발생한 결정적인 변화는 기대인플레이션에 있다고 봅니다. 1월달 세금환급등의 명분으로 유동성이 …

지금 주의깊게 봐야 하는 지표 계속 읽기

70년대 인플레이션 시기 자산별 연평균수익률

자산연평균수익률석유34.7%금31.6%동전용 금속27.7%은23.7%도자기21.6%다이아몬드15.3%농지14.0%주택10%물가지수 및 단기채권7.7%채권6.6%주식6.1%1970년에서 1979년까지 각 자산들의 연평균수익률 1970년대 미국은 인플레이션의 시대였습니다. 물가지수는 연평균 7.7%로 오르고, 달러가치는 계속 평가절하되면서 각종 자산의 가격이 제각각 오르던 시기였고, 당시에 어떤 자산의 수익률이 좋았는가를 통계를 내보면 위와 같습니다. 당연히 석유가 가장 좋은 수익률을 올렸고, 이에 못지 않게 다양한 원자재가 높은 수익률을 올리던 시기였습니다. 여기서 생각해볼 건 연평균 수익률에서 물가지수를 …

70년대 인플레이션 시기 자산별 연평균수익률 계속 읽기

SVB파산의 의미

SVB파산을 전후해서 시장의 움직임에 걱정이 많으신 분들이 있으실거 같아서 글을 하나 올려봅니다. SVB 파산이슈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미국채 장기물 금리가 엄청나게 떨어졌습니다. 보통은 금리가 올라가면서 주가가 떨어졌는데, 이번에는 금리가 떨어지면서 주가가 떨어져서 놀라는 분들이 많은것 같습니다. 당연히 많은 분들이 과거 리먼 브라더스 파산 때를 연상할겁니다. 일단 이게 금융위기로 곧바로 이어지지는 않을겁니다. 2008년 금융위기는 한개의 요인만으로 벌어진 …

SVB파산의 의미 계속 읽기

어제 파월의장의 발언 이후,,,

많은 이들은 파월 의장이 기준금리 50bp 인상가능성에 주식시장이 떨어진 걸 바라보며 걱정합니다만, 저는 오히려 미국채 10년물과 30년물 금리가 떨어진 게 더 눈에 띕니다. 당장 어제 하루의 변동에서 큰 의미를 찾기에는 금리하락의 폭도 작고 하루 정도의 변동은 일시적일 수 있기에 며칠 더 지켜봐야겠지만, WTI 원유가격도 4% 넘게 떨어졌습니다. 기준금리를 시장의 기대보다 더 올릴 수 있다는 발언에 …

어제 파월의장의 발언 이후,,, 계속 읽기

채권투자의 황금타이밍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https://www.news1.kr/articles/4971081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기준금리 '착륙 불가' 결정을 내리고 통화 긴축을 강화할 수 있다 연준에서 3월달에 빅스텝(50bp 금리이상)을 밟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한국은행도 금리인상 압력을 받고 있다 외환시장도 이에 따라 불안정해지고 있다 지금 경제상황은 인플레이션보다는 경기침체를 더 걱정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미국이나 중국 뿐 아니라 대부분의 선진국들이 모두 그렇습니다. 각국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을 걱정하는 이유 또한, 인플레이션 때문에 …

채권투자의 황금타이밍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계속 읽기

기준금리를 올려야 물가가 떨어진다?

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했습니다. 한국은행의 고심이 느껴지는 행보였습니다. 기준금리 자체는 동결했지만, 기자회견 내내 물가를 관리하는 것의 중요성을 계속 강조했고, 앞으로 물가가 더 오르면 언제든지 금리를 올리겠다고 단언할 정도면 그 고심이 어느정도인지 엿보이는 대목입니다. 그런데, 각종 유투브나 커뮤니티에서 이런 한국은행의 행보가 크게 잘못되었고, 한국은행 종재의 무능함을 지적하는 주장들이 쏟아져나오기 시작합니다. 우리나라 경제가 이번 기준금리 동결로 큰 …

기준금리를 올려야 물가가 떨어진다?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