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보뱅 vs. 래리 서머스 – 미국의 물가와 경기 예측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62008 위는 블랙락 투자연구소 소장인 장 보뱅 전략가의 주장을 실은 기사입니다. 기사 내용은 앞으로 인플레이션이 쉽게 내려가지 않고 끈적끈적하게 되어서 연준의 금리인하를 막을 것이라는 겁니다. 또한, 경기침체가 시장참여자들의 컨센보다 훨씬 가볍게 지나갈 수 있다는겁니다. 왜냐하면 연준이 물가하락을 가져올 정도의 강한 경기침체가 나오기 훨씬 전에 지금의 가파른 기준금리인상을 중단할 것이기때문에생각보다 생각보다 큰 경기침체가 오기 어렵다는 거지요. …

장 보뱅 vs. 래리 서머스 – 미국의 물가와 경기 예측 계속 읽기

필립스곡선의 본래 의미

https://www.investing.com/analysis/the-phillips-curve-is-still-working-just-fine-200636975#comments 인베스팅닷컴에 올라온 Michael Ashton의 기고문입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잘못 알려진 필립스곡선의 원래 의미에 대해 환기하는 내용입니다만, 우리가 어떤 정보들을 받아들일 때 취해야 하는 태도에 대해 많은 시사점을 보여주는 문헌이라 소개합니다. 필립스곡선을 검색하면 거의 백이면 백 “인플레이션과 실업율의 역의 상관관계”를 기술하는 수식이라고들 말합니다. 그리고, 그런 상관관계가 이미 깨진 지 오래이고 지금은 잘 들어맞지 않는 원칙이라고 설명하지요. …

필립스곡선의 본래 의미 계속 읽기

EU 한마디에 자국산업을 팔아먹었다? LCR제도 폐지 관련

https://youtu.be/cLyTqIGM7S4 JTBC 뉴스룸 단독보도, 2023년4월4일 어제 JTBC에서 보도한 기사내용입니다. LCR제도를 “국산화지원제도”라고 번역한 후 지난 정부에서 풍력발전 LCR을 추진했던 것을 폐지하려 한다고 보도한 기사입니다. 2021년 풍력발전에 핵심부품인 풍력터빈을 국산화해서 풍력발전기의 국산화율을 대폭 올리겠다는 정책입니다. 과련 기사 링크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www.ele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8485 외국산 풍력터빈이 성능은 월등하지만 유지보수가 쉽지 않았기 때문에 본격적인 풍력발전의 보급에 지장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기에 좋은 …

EU 한마디에 자국산업을 팔아먹었다? LCR제도 폐지 관련 계속 읽기

어제 미국시장의 관찰

한국시간 2023년4월4일 오전8시 어제 OPEC plus의 감산소식으로 유가가 크게 올랐습니다. 드디어 WTI유가선물이 80달러를 넘어섰습니다. 사실, 이러한 감산합의가 실제 감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관측이 많습니다. 어제의 감산합의가 나오기 전에도 실제 생산량은 이전의 합의했던 생산량에 훨씬 못 미쳤었기 때문입니다. 그런 전후사정에도 불구하고 감산합의 자체의 무게감 때문에 유가는 크게 올랐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유가상승에도 미국채 시장금리는 상당폭 떨어졌습니다. 이렇게 …

어제 미국시장의 관찰 계속 읽기

OPEC의 추가감산과 유가 상승

한국시간 2023년4월3일 12시 현재 지표들 OPEC plus 회원국들이 추가감산을 합의했습니다. 그 결과 유가선물이 크게 올라서 80불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유가상승이 곧바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켜서 국채금리가 상승하고 주식이 내려갈까요? 이건 좀 복잡한 문제입니다. 사실, 이번 OPEC plus의 감산합의가 주가나 앞으로 며칠동안 국채금리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것인가는 반드시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야 하는 주요 체크포인트 중 하나가 …

OPEC의 추가감산과 유가 상승 계속 읽기

이자율리스크와 신용리스크의 차이, 상업용부동산 리스크의 이해 – 강영현 이사

https://youtu.be/WYlHf9qtSac 3월28일 인포맥스 라이브 영상 지금까지 나온 은행권의 리스트들(SVB파사, 크레딧스위스, 도이치방크 등)은 은행들이 보유중인 채권자산의 이자율리스크(interest risk)입니다. 금리리스크는 중앙은행이 별다른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쉽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최근 이슈들이 빠르게 안정화될 수 있었던 겁니다. 진짜 무서운 건 장부에 손실이 인식되지 않는 신용리스크(credit risk)입니다. 부동산 PF대출, 영구채, c-MBS(상업용 부동산의 MBS) 같은 채권들이 부도가 나오기 시작하는 …

이자율리스크와 신용리스크의 차이, 상업용부동산 리스크의 이해 – 강영현 이사 계속 읽기

상업용부동산 이슈가 정말 무서운 점

이제, SVB파산, 크레딧스위스, 도이치뱅크에 이어 상업용부동산이 이슈가 시장을 불안하게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혹자는 이 상업용부동산 이슈가 제대로 터지려면 시간이 많이 남아있고, 터질지 안터질지도 불확실하다고 지적합니다. 당장 이걸 걱정할 이유가 있겠느냐는거지요. 맞습니다. 상업용부동산이 어려워진게 어제오늘 갑자기 벌어진 것이 아니고, 이게 정말로 문제가 되려면 굵직한 자산운용사들 몇개는 파산하는 정도의 사건이 연달아 터져나와야 합니다. 당장 터질수 있는 문제는 …

상업용부동산 이슈가 정말 무서운 점 계속 읽기

미국 부동산이 수상하다 – 해담경제연구소 어예진 소장

https://youtu.be/uovv0A7FIO8 언더스탠딩 2023년 3월29일 영상 SVB 파산으로 시끄러웠습니다. 하지만, SVB 파산이 시스템 리스크라고 볼수는 없습니다. 보유하던 국채 중에 장기물이 지나치게 많아서 유동성관리를 어처구니없이 해오다 소문이 돌면서 뱅크런이 나온거죠. 마침 대부분의 고객들이 예금자보호대상이 아닌 고액예금자들이라 소문이 돌자마자 순식간에 인터넷으로 뱅크런이 나와 손쓸 틈 없이 파산한겁니다. 그 다음 나왔던 건 크레딧스위스,,, 이건 3년 전부터 말이 많았고, 빌황의 …

미국 부동산이 수상하다 – 해담경제연구소 어예진 소장 계속 읽기

지금이 버블인지 확인하는 방법

https://youtube.com/watch?v=hLeZ6Pk5lW4&si=EnSIkaIECMiOmarE 이효석 아카데미 클리프 애즈니스 소개영상 유투브 채널인 이효석아카데미에 나온 영상 중 한 장면입니다. 클리프 애즈니스라는 퀀트 투자자의 영상을 소개하는 대목인데, 자산시장에 거품이 남아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두가지 잣대에 대해 언급하고 있습니다. 시장이 지속 불가능한 가정을 하고 있는가?(지속 불가능한 가정을 가격에 선반영하고 있음) 비싼 주식과 싼 주식(성장주와 가치주)의 가치 괴리가 심한가? 개인적으로 굉장히 명확하고 간결한 잣대라고 …

지금이 버블인지 확인하는 방법 계속 읽기

크레딧스위스은행의 여파가 일부 아시아 은행으로,,,

https://www.swissinfo.ch/eng/riskiest-bonds-for-some-asian-banks-fall-by-record-on-credit-suisse-deal/48374242 기사에 나오는 DBS 그룹은 과거 싱가포르 개발은행이었다가 이름을 바꾼 금융사이고, 중국과 인도에 주로 투자를 해온 은행지주사입니다. 크레딧스위스 은행이 어려워지자 미국 재무부와 라가르드 유럽은행총재가 재빠르게 인수를 추진해서 크레딧스위스은행 자체의 리스크는 어느정도 불식되었지만, 크레딧스위스은행이 가지고 있던 각종 파생상품들에 대해서 인수할 회사인 UBS가 아야 사업부 폐쇄를 발표하자, 이들 파생상품들에 대한 가치가 계속 하라하기 시작하면서 영향을 아시아권 은행들이 …

크레딧스위스은행의 여파가 일부 아시아 은행으로,,,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