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ltrasound classification of traumatic distal biceps brachii tendon injuries

논문 출처 Ultrasound classification of traumatic distal biceps brachia tendon injuries Authors : Javier de la Fuente, Marc Blasi, Sílvia Martínez, et. al. Skeletal Radiology (2018) 47:519–532 distal biceps brachii tendon rupture 자체는 전체 biceps tendon rupture 의 3%정도밖에 안되는 비교적 드문 질환입니다. 저 또한 partial tear case는 몇 번 진단했었지만 complete rupture 를 초음파로 …

Ultrasound classification of traumatic distal biceps brachii tendon injuries 계속 읽기

간표면의 초음파영상 사례 – 3

이번 사례는 77세 남자 환자로 간경화로 진단받은 상태에서 합병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한 간초음파영상입니다. 위 영상은 간좌엽 횡단면영상으로 좌측 간문맥의 umbilical portion과 미상핵(caudate lobe)이 보입니다. 간좌엽의 피막이 비교적 매끄러워 보입니다. 같은 부위를 12MHz linear probe로 확대해 보았습니다. 간초음파영상에서 사용했던 4MHz convex probe에선 확인할 수 없었던 간표면의 nodularity가 매우 뚜렷하게 보입니다. 간 경화 내지, 간조직의 섬유화가 …

간표면의 초음파영상 사례 – 3 계속 읽기

간표면의 초음파영상 사례 – 2

이 환자는 82세 남자환자로서 예전부터 간기능수치가 매우 높았던 만성간질환 환자로 내워해서 초음파영상을 시행하였습니다. 위의 영상처럼 매우 거칠고 고에코의 간실질이 확인되므로 만성간염 내지 간경화초기의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간좌엽의 anterior surface가 약간 우둘투둘해보이지만, 4.0MHz의 낮은 frequency로는 liver surface를 정확히 관찰하는게 불가능합니다. 이 환자는 복수나 비장종대, varix같은 간경화에서 동반되는 다른 소견들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위는 12MHz frequency linear …

간표면의 초음파영상 사례 – 2 계속 읽기

간의 지붕쪽 병변들을 초음파로 확인하지 못했던 사례

이번 사례는 78세 남자환자로, 담낭절제술을 시행했던 환자부의 간초음파영상입니다. 간 좌엽에는 별다른 병변이 보이지 않았고, 확인하지 못한 부위도 없었습니다. 그런데, 간 우엽의 지붕부위는 제대로 확인하지 못한 부분이 존재합니다. 위 영상이 간의 지붕부위를 찍은 영상이지만, 지붕부위의 일부분이 잘려있습니다. 누워있는 자세와 좌측 측와위자세에서 시도해봤지만, 이보다 위쪽을 보는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 환자는 초음파영상을 하기 며칠 전에 우상복부의 불편한 …

간의 지붕쪽 병변들을 초음파로 확인하지 못했던 사례 계속 읽기

간표면의 초음파영상 사례 – 1

간초음파에서 간표면이 울퉁불퉁 튀어나와 있으면 간경화나 간섬유화의 진행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간초음파에서 간표면을 관찰하는 건 중요하지만, 통상적인 간초음파영상으로는 간표면의 상태에 대해 정확히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때문에 판독할 때 주의해야 합니다. 위 영상은 67세 여자환자분이 간기능검사 상 AST/ALT 및 rGTP수치가 상승해서 시행한 간초음파영상입니다. 간 좌엽의 시상면 및 횡단면영상에서 간표면이 미세하지만 우둘투둘하게 surface nodularity를 의심해볼수 있는 …

간표면의 초음파영상 사례 – 1 계속 읽기

Quantitative ultrasonic tissue characterization as a new tool for continuous monitoring of chronic liver remodelling in mice

출처 : Liver international 2007 p854, Guimond, et. al. NCBI Link 통상적으로 시행하는 B-mode 간초음파영상으로 간경화나 간내섬유화를 정확히 진다하는 건 불가능합니다. 물론, 간이 쪼그라들고 복수가 차있으면서 비장종대가 보인다면야 이론의 여지가 없이 간경화라 하겠지만, 이건 심하게 진행된 상태에서 진단하는 것이죠. 임상증상을 보이기 전에 subclinical stage에서 조기발견을 하거나, 진행상태를 정확히 판단하는 정량검사가 간초음파로는 매우 어려운게 사실입니다. 간혹, …

Quantitative ultrasonic tissue characterization as a new tool for continuous monitoring of chronic liver remodelling in mice 계속 읽기

놓칠뻔 했던 dermoid cyst 사례

생각해보면 어이없고 황당한 실수인데, 이런 경우도 있을수 있겠다 싶어서 사례를 올려봅니다. 56세 여자 환자분이고, 위의 초음파영상은 산부인과에서 시행한 질초음파영상입니다. 크기가 매우 큰 낭성병변을 발견하고, 이를 감별하기 위해 CT를 영상의학과에 의뢰하였습니다. 해당 낭성병변 외에도 우측 adnexa 부위에 작은 단순낭종과 uterine myoma병변도 같이 발견한 상태였습니다. CT영상에서 우측난소에 단순낭종이 보입니다. 산부인과에서 촬영했던 질초음파영상에서 보였던 uterine myoma소견도 확인됩니다. 여기까지 …

놓칠뻔 했던 dermoid cyst 사례 계속 읽기

k-TIRAD 2016, 유용하고 좋은 지침입니다.

K-TIRADS 2016 revision이 나오기 전에 다른 나라에서도 여러가지 갑상선결절의 risk stratification system이 나왔지만, K-TIRADS만큼 간단하고 알기 쉬운 lexicon이 없더군요. 쓸데없는 군더더기들이나 근거가 불명확한 것들은 다 덜어내고 핵심만 담았습니다. 자세한 내용이야 구글 검색만 해도 바로 검색됩니다. 대한갑상선학회에서 제정한 K-TIRADS 2016 전체 내용을 담은 문헌이 필요하시면 이 링크를 통해서 다운로드받으셔도 됩니다. K-RADS 2016 표 자체는 복잡해보일지 몰라도, …

k-TIRAD 2016, 유용하고 좋은 지침입니다. 계속 읽기

비쩍 마른 환자의 초음파검사

나이드신 분들 중에서 흔하게 보이는 근감소증(sarcopenia)이나 악액질(cachexia) 등의 이유로 위의 사진처럼 비쩍 마른 환자분을 간초음파 검사를 할 때에는 뚱뚱한 환자들보다 오히려 더 까다롭고 시간이 많이 걸릴뿐 아니라 정말 조심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이 환자분은 탐촉자를 늑골 아래로 위치해서 접근하려 해도 늑골과 배 사이가 움푹 들어가 있기 때문에 탐촉자가 제대로 밀착될 수 없습니다. 그렇기때문에 위와 …

비쩍 마른 환자의 초음파검사 계속 읽기

초음파영상 관련 블로그를 만들게 된 이유

최근 몸이 계속 안좋은데다 계속되는 폭설로 내원환자가 뚝 떨어져서 케이스로 낼만한 영상도 없어서 글을 며칠간 못올렸는데, 그렇다고 잠수타기는 좀 그렇고 왜 초음파영상 관련 블로그를 시작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한번 글을 써보겠습니다. 초음파영상진단은 이제는 영상의학과 전문의만의 고유한 영역이 아니게 되었습니다. 내과나 외과 뿐 아니라, 이비인후과나 정형외과에서도 각자의 영역에서 자신들이 스스로 초음파영상진단을 시도하고, 탐촉자를 잡는 임상의사분들이 요즘은 굉장히 …

초음파영상 관련 블로그를 만들게 된 이유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