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의학은 어떻게 노벨 의학생리학상을 받았는가?

일반인들에게 잘 알려지지는 않았을지 모르나, 우리 한의학과는 달리 현재 중의학은 상당한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그러한 성과 중 단연 대표할만한 금자탑은 다름아닌 노벨 의학생리학상을 중의학자가 받은 쾌거입니다. 2015년 노벨 의학-생리학상을 수상한 세 명의 과학자 중 한명으로 말라리아 치료약이 되는 성분인 아르테미시닌(artemisinin)을 발견한 투유유 수석 연구원은 중국 중의학연구원 소속 과학자로서 중의학적인 접근법을 병용해서 말라리아 특효약을 개발한 공로로 …

중의학은 어떻게 노벨 의학생리학상을 받았는가? 계속 읽기

한의사 분들께 바라는 점

사실, 저는 한의사 분들이 의사나 의학을 향해 하고 싶은 걸 기탄없이 의사들이 듣고 또 고려하는 분위기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또, 그런 목소리를 듣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의사의 입장에서 무조건 한의학은 안돼 이런 식의 배척이 아닌 생산적인 관점에서 하고픈 말들도 있고 말이죠. 일단 전제해야 하는 건, 의사들이 조심해야 하는 부분들에 대한 겁니다. 한의사라는 직업과 면허는 절대적으로 …

한의사 분들께 바라는 점 계속 읽기

한의학서 면역이라는 단어

원래 한의학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을 뿐 아니라, 현대의학에서도 주의깊게 고민해 보아야 할 문제가 “병이 아닌 사람을 보자”라는 명제일 겁니다. 병을 일으키는 외부의 원인 인자를 집중하지 않고 병이 나는 사람에게 주목하는 것은 여러모로 쓸모있는 접근방식이 분명합니다. 특히나 감기나 암과 같이 원인을 제거하는 게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경우에는 사람의 몸을 건강하게 유지시켜서 설령 병에 걸린 후라 하더라도 불편한 …

한의학서 면역이라는 단어 계속 읽기

의사들을 꾸짖는 한 한의사의 임상사례

DP에서 종교 이야기 다음으로 분란과 소란을 조장하는 주제가 양방한방 문제일 겁니다. 이 주제에 대한 제 생각이나 입장은 확고하지만 어지간 해서는 그런 주제로 글을 안쓰는 이유는 한의사분들을 존중하고, 그 분들의 열정과 경험, 그리고 전문성을 존중하기 때문입니다. 한의학에 종사하는 분들이라고 꽉 막힌 생각을 가지고 계시는 건 아니라는 걸 알기에 이런 주제로 글을 자꾸 쓰는 바보짓을 안하려 하지만, …

의사들을 꾸짖는 한 한의사의 임상사례 계속 읽기

한의학의 쾌거, 넥시오 프로젝트

경희대 한의대 최원철 교수님이 말기암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던 넥시아 프로젝트가 드디어 빛을 보게 되었다고 합니다. http://www.hani.co.kr/arti/society/health/157705.html 넥시아프로젝트라는 게 간단하게 말해서 한방에서 “암”에 해당하는 병증에 대해 나온 처방들을 복원해서 실재 암환자들에게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프로젝트입니다. 물론, 아무 암환자나 치료해서는 안되겠기에 몸 여기저기로 전이가 되어버린 전이암 상태, 즉 4기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고 하는데요, 기존의 처방들은 한방재료들을 끓이거나 …

한의학의 쾌거, 넥시오 프로젝트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