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모니터 안근모 편집장 인터뷰 요약 – 팟캐스트 신과함께

글로벌경제의 신과함께 – 1부

글로벌경제의 신과함께 – 2부

글로벌경제의 신과함께 – 3부

경제 팟캐스트 중에 요즘 꼼꼼히 듣는게 “신과함께”라는 팟캐스트입니다. 각 분야의 명사들을 초청해서 경제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컨셉인데, 오늘 올라온 내용은 글로벌모니터 안근모 편집장과의 인터뷰였는데, 정말 유익한 내용들이 많아서 당분간 몇번 더 들어가면서 공부를 해볼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제 글을 통해서 소개하고 싶은 내용은 달러환율과 금리와의 관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보통 경제에 대한 조예가 없는 저같은 초보들이 잘못 알고 있는 편견이 있는데 어떤 나라가 금리를 올리면, 당연히 그 나라 화폐가치는 절상된다는 그런 생각입니다. 이렇게 금리를 올리면 해당국 화폐가 절상된다는 명제는 “대게는 그렇다” 정도로만 여겨야지, 절대적인 원칙이 아니라는 거지요.

실제로 미국이 2002년 이후로 금리를 1%대에서 5%대까지 계속해서 올렸던 때가 있었는데, 당시 미국의 화폐가치, 즉 달러는 강세가 아닌 약세기조를 계속 지속했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최근 미국이 예전부터 지속적으로 금리를 올려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달러강세기조가 전혀 출현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봐도 확인되는 현상입니다.

왜 이렇게 되냐면, 미국이 수출 없이 내수만 가지고도 얼마든지 경제를 유지할 수 있었던 5,60년대 때의 미국이 아니기 때문이라는게 안근모 편집장의 설명입니다.

이미 달러라는 화폐는 미국만의 화폐가 아닌, 전세계 모든 나라에 뿌려져 있으면서 무역 뿐 아니라 투자에도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세계의 화폐가 되어버렸기 때문에, 미국이 금리를 2,3프로 올린다고 해도 신흥국의 성장기조나, 그에 따른 신흥국 화폐가치가 견실히 유지된다면 그깟 2,3프로 금리상승때문에 그 돈들이 미국으로 흘러들어가지 않는다는 거지요.

즉, 금리가 환율을 움직인다는 인과관계가 더이상은 성립하지 않게 되었다는 겁니다. 그래서, 미국 fomc가 금리를 올리는거보다 달러화강세에 훨씬 더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건 신흥국 경제가 망가지는 거라고 합니다. 이제는 정부의 금리발표보다 신흥국에 투자된  투자자본의 미래전망이 달러환율에 훨씬 더 직접적인 요인이라고 그는 단언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세계적으로 달러화의 가치가 어떻게 될까를  보여주는 가장 믿을만한 지표가 달러인덱스, 즉 달러화지수가 아닌 우리나라의 수출동향이라고 합니다. 달러인덱스는 유로화쪽의 변수가 너무 크게 평가되어서 오히려 왜곡될 개연성이 커서 그것보다 우리나라 수출동향이 훨씬 유용한 지표로 통용된다고 하네요.

우리나라만큼 세계화에 실물과 금융쪽 모두에 동조화 되있으면서, 동시에 제조업강국이고 미국에 수출을 꾸준히 하는 나라가 없는데다, 관세청에서 한달에 한번도 아니고, 10일에 한번씩 정확하게 수출통계를 내주는지라 전세계 투자자들이 꼭 참조하는 지수라고 합니다.

그래서, 안근모 편집장은 지금처럼 미국의 금리가 꾸준히 올라가고 있는 상황은 오히려, 미국이나 신흥국 모두에게 해피한 상황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미국과 신흥국이 따로 가는게 아니라, 동조화가 되어서 같이가는게 현재 추세라는 거지요. 미국도 최근에는 수출의존도가 계속 올라가고 있는 중이기 때문에 달러화절상은 감당하기 어려운 파국이라고 합니다. 때문에, 지금까지 금리를 꾸준히 올리는 와중에서도 절대 달러화강세를 용인하지 않겠다는 의지표명을 지속적으로 시장에 보여주고 있기에, 금리상승에도 달러화강세가 쉽게 현실화되지 않았다는거지요.

오히려, 안근모 편집장이 두려워하는 상황은 미국이 금리를 더이상 올리지 않고 내리는걸 고민하기 시작하는 때라고 하네요. 물론, 지금 당장은 그런 상황과는 거리가 멀다는건 다들 아시는 바이구요.

결론적으로, 경제를 잘 모르는 제가 한번 들어본 풍월을 대충 옮겨본 이 글을 읽으셔봐야, 안근모 편집장의 시각을 제대로 짚어내실 수 없을거라 생각하기에 해당 팟캐스트를 다들 한번 들어보시는게 어떨까 합니다. 내용 자체는 길면서도 쉽게 이해하기 어려운 대목들이 있지만, 잘 들어본다면 틀림없이 앞으로의 전망에 필요한 중요한 단서들을 발견하실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