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악 이복근(digastric muscle)의 초음파영상

하악이복근, 즉 digastric muscle은 그 자체로도 목에 자주 통증을 일으키는 근육이기도 하지만, 목의 Level I LN인 submental LN(level Ia) 및 submandibular LN(level Ib)을 구분하는 기준이 되기 때문에 어떤 위치에서 어떻게 보이는지를 아는 것이 의미가 있습니다.

먼저 submental & submandibular LN를 구분하게 해주는 digastric muscle(하악 이복근)의 anterior belly가 초음파영상에서 어떻게 보이는지 보겠습니다.

턱 바로 밑에서 횡단면영상을 얻으면 좌우측 mylohyoid muscle(하악 설골근)이 서로 붙어서 삼각형 모양의 단면을 이루고 있는 양 옆으로 두꺼비 눈이 튀어나온 것처럼 대칭의 근육다발이 보이는게 digastric muscle(하악 이복근)의 단면입니다. 오른쪽 영상에서 이 하악이복근의 윤곽을 선으로 둘러서 표시했습니다.

이 하악이복근은 아래로 내려갈수록 lateral로 주행해서 submandibular gland의 뒤로 주행하게 됩니다. 따라서, 조금 더 아래쪽에서 횡단면영상을 얻게 되면, 하악이복근의 단면은 개구리 눈처럼 동그란 모양에서 점점 납작하게 변하게 됩니다.

이렇게 납작하게 변하고 있는 하악이복근의 단면 윤곽을 마찬가지로 오른쪽 영상에서 표시했습니다.

이렇게 하측방향으로 주행하는 하악이복근의 주행방향을 따라 스캔한 영상입니다. 하악이복근은 잠시동안은 더 깊게 위치해있는 하악설골근과 함께 보이다가 점점 가늘어지면서 설골 위쪽에 anterior & posterior belly를 고정시켜주는 구조물을 향해 주행하게 됩니다.

이렇게 하악 이복근의 앞쪽 근육, 즉 anterior belly는 매우 가는 힘줄로 변하면서 한번 꺽인 후에 뒷쪽 posterior belly와 연결되는데, 이렇게 앞뒤쪽 이복근을 잡아서 고정시켜주는 활차는 생각보다 설골(hyoid bone)에서 꽤 떨어져서 위쪽에 존재하며, 초음파영상에서는 위와 같이 턱밑샘(submandibular gland)의 깊은 부위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anterior 및 posterior belly가 약간의 앵글을 이루면서 연결된 이후부터는 posterior belly muscle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깊지 않은 곳에 위치하며, 턱밑샘 뒷쪽으로 주행하는 posterior belly 근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nterior belly에 비해 근육 자체의 두께는 더 얇은 편입니다.

탐촉자를 위아래 방향으로 한 후 설골(hyoid bone)이 포함되게 얻은 시상면(sagittal) 영상입니다. 하악 이복근은 설골을 향해 부착되지 않고 더 lateral 쪽으로 주행하기 때문에 점점 가늘어지며 영상을 벗어나고 있지만, 하악 설골근(mylohyoid muscle)은 똑바로 아래를 향해 주행한 후 설골(영상에서 후방에코음영이 있는 구조물)에 바로 부착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서도 두 근육을 정확하게 구분하는게 가능합니다.

00064259_US_20180117279_20180117_008

이제, 다시 턱밑샘 근처에서 하악이복근의 주행을 보여주는 단면영상으로 돌아가 봅니다. 보통, 우리가 submental LN라고 하면 턱의 바로 밑 부분 중에서도 거의 한가운데에 국한되있을거라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submental LN는 보시는것처럼 하악이복근의 anterior belley를 기준으로 그 내측부를 의미하기 때문에, 하악이복근의 anterior belley 바로 밑부분에 존재하는 임파선이라면, 아무리 턱밑샘 근처이고, lateral 부위에 위치해 있더라도 submandibular LN가 아닌 submental LN라고 판독해야 합니다.

또한, 턱밑샘으로부터 상당히 떨어져서 내측부에 위치하는 임파선이라 하더라도, 하악이복근의 anterior belly보다 더 얕은 곳에 위치해 있으면서 하악골과 바로 붙어있는 위치라고 한다면, 이건 submental LN가 아닌 submandibular LN라고 판독해야 하겠지요.

이렇게 경부초음파에서 임파선을 기록하는 데에 세세한 근육들이 초음파영상에서 어떻게 보이고 위치하는지를 숙지한다면, 좀 더 정확한 판독과 기술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간단해 보이는 하악이복근, 즉 digastric muscle의 주행도 책에서 보여주는 식으로만 상상할게 아니라는 것도 기억해 둘 점이었구요.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