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gulodigastric lymph node

요즘에는 주변의 다른 lymphatic chain들과 뭉뚱거려서 level II lymph node로 쓰고 있지만, pharyngitis가 있을때 포도상구균이 잘 퍼지기 때문에 흔하게 볼 수 있는 jugulodigastric lymph node는 아직도 따로 구분해서 기술하기도 합니다.

위 영상은 digastric muscle(하악 이복근)의 뒷쪽, 즉 posterior belly가 주행하는 방향으로 스캔한 초음파영상입니다. 턱밑샘과 귀밑샘의 깊은 곳을 지나가는 저에코의 근육다발을 볼 수 있습니다. 이 digastric muscle의 posterior belly를 기준으로 이보다 더 아래쪽에 위치하는 lymph node를 jugulodigastric LN로 정의합니다.

위의 영상에서 digastric muscle posterior belly의 위쪽 귀밑샘에 보이는 임파선은 귀밑샘 안에 있어서기도 하지만, posterior belly의 앞쪽 내지 내측에 존재하기 때문에라도 jugulodigastric LN라고 하기는 어려운 경우입니다.

위 영상은 턱밑샘 위치에서 턱 아래쪽으로 탐촉자를 위치해서 얻은 시상면영상입니다. 턱밑샘의 하부에 하악이복근의 뒤쪽 부위(posterior belly of digastric muscle)의 단면이 보이고 있으며, 오른쪽에서 이 부분을 post. belly라는 문자로 표시해 놨습니다.

이 posterior belly의 단면에서 바로 아랫쪽에 보이는 작은 임파선은 설명한 것처럼 level II chain인 jugulodigastric LN입니다. 이걸 턱밑샘과 딱 붙어있으니까 level I chain인 submandibular LN로 혼동하면 안될것입니다.

이번에는 귀밑샘 위치에서 탐촉자를 아래로 향해서 얻은 시상면영상입니다. 마찬가지로 귀밑샘과 딱 붙어있는 임파선이 보이지만, 이 또한 posterior belly가 지나가는 단면보다 더 밑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jugulodigastric LN입니다.

물론, parotid chain이나 jugulodigastric chain이나 같은 level II(upper deep cervical trunk)라고 기술하면 별로 신경쓸 이유가 없긴 하지만, 정상에서도 jugulodigastric LN의 경우는 short axis가 큰 경우가 있으므로 크기가 애매한 임파선일 경우는 판단에 정확한 위치구별이 필요할 수도 있을것입니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