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본성대로 멋대로 놀고, 함부로 날뛰면서도 편안해하고, 금수와 같은 행위를 하므로 예의에 맞지 않고 나라를 다스리는데 통하지 못함에도 주장에 근거가 있고 말에 조리가 있어 족히 우매한 사람들을 속이고 미혹케 하는 사람이 타효와 위모이다. 억지로 본성을 누르고 말은 의미심장하면서 행동은 괴벽하며, 다른 사람과 다른 것을 고상하게 여겨 대중과 화합하지 못하고 신분의 큰 구분을 지킬 수 없음에도 …
이게 뭐하는 짓들일까요
http://www.fortun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283 https://stock.mk.co.kr/news/view/59554 지금 우리나라는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고통을 감수하고 기준금리를 올려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습니다. 빠르게 물가를 잡지 못하고 인플레이션이 장기화된다면, 이로 인해 미국과 유럽 선진국 대비 통화가치가 떨어지면서 인플레이션을 일으키는 연쇄작용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기껏 한국은행이 고민에 고민을 거듭해가며 기준금리를 올려놔도 대통령이 호통을 치고, 금감원장이 은행을 돌아다니면서 “고금리로 국민 이자 부담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
지금 주의깊게 봐야 하는 지표
2023년3월15일 오후9시 주요 지표 상황 지금 S&P500 VIX지표가 10%가 넘게 올라가면서 불안해하는 분들이 계실지 모르겠습니다. 주식시장 하나만 보거나, 당장의 주식움직임만 보고 혼란에 빠지면 안됩니다. 어차피 지난주부터 역대 2번째로 큰 은행이 하루도 안되어 청산되버리는 엄청난 상황의 여파가 며칠 지나지도 않았는데 사라질 리 없는거죠. 이번 SVB파산으로 인해 발생한 결정적인 변화는 기대인플레이션에 있다고 봅니다. 1월달 세금환급등의 명분으로 유동성이 …
그럴싸한 이유를 찾으려는 나쁜 습관
우리나라가 무언가 어려운 일을 당해서 많은 사람들이 안타까워하고 답답해 하는 때가 있습니다. 이렇게 시절이 하수상한 때에 갑자기 어떤 사람이 이렇게 우리나라가 시련을 겪을수밖에 없는 그럴듯한 이유를 제시합니다. 정말로 그 이유가 맞는건지, 아니면 더 중요하고 근본적인 이유가 따로 있거나 몇개지의 이유만으로는 그런 현상을 설명하는게 불가능한 건 아닌지, 생산적인 결론을 내기 위해서는 좀 더 시간을 두고 천천히 …
70년대 인플레이션 시기 자산별 연평균수익률
자산연평균수익률석유34.7%금31.6%동전용 금속27.7%은23.7%도자기21.6%다이아몬드15.3%농지14.0%주택10%물가지수 및 단기채권7.7%채권6.6%주식6.1%1970년에서 1979년까지 각 자산들의 연평균수익률 1970년대 미국은 인플레이션의 시대였습니다. 물가지수는 연평균 7.7%로 오르고, 달러가치는 계속 평가절하되면서 각종 자산의 가격이 제각각 오르던 시기였고, 당시에 어떤 자산의 수익률이 좋았는가를 통계를 내보면 위와 같습니다. 당연히 석유가 가장 좋은 수익률을 올렸고, 이에 못지 않게 다양한 원자재가 높은 수익률을 올리던 시기였습니다. 여기서 생각해볼 건 연평균 수익률에서 물가지수를 …
SVB파산의 의미
SVB파산을 전후해서 시장의 움직임에 걱정이 많으신 분들이 있으실거 같아서 글을 하나 올려봅니다. SVB 파산이슈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미국채 장기물 금리가 엄청나게 떨어졌습니다. 보통은 금리가 올라가면서 주가가 떨어졌는데, 이번에는 금리가 떨어지면서 주가가 떨어져서 놀라는 분들이 많은것 같습니다. 당연히 많은 분들이 과거 리먼 브라더스 파산 때를 연상할겁니다. 일단 이게 금융위기로 곧바로 이어지지는 않을겁니다. 2008년 금융위기는 한개의 요인만으로 벌어진 …
가격의 움직임에 현혹되지 말아야 하는 이유
https://youtube.com/watch?v=XRJd_Jyq7YE&si=EnSIkaIECMiOmarE 2020년 3월 기간동안 벌어졌던 미국채 수익률 발작사태가 주는 교훈 2020년 3월 코로나 위기로 미국의 경제는 계속 무너져내렸고, 주식, 부동산, 정크본드(고위험 회사채)같은 위험자산은 바닥을 모르고 침몰하고 있었습니다. 그 때 가격이 오르던 건 변동성지수(VIX지수) 연동 ETF와 국채밖에 없었죠. 당연한 현상이었죠. 그런데, 어느 순간 있을 수 없는 일,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 벌어집니다. 난데없이 미국채금리가 갑자기 올라가기 시작한거죠. …
피터 린치의 “월가의 영웅” 메모(5)
<월스트리트의 바보들> 피터 데로스도 소형주로 뛰어난 실적을 올렸다. 데로스는 하버드 법학대학원 출신으로 주식에 대해 주체할 수 없는 열정을 지닌 인물이다. 그가 성공을 거둔 비결은 경영대학원을 다니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는 쓸데없는 것을 배우지 않았으므로, 잊으려고 애쓸 필요도 없었다. 단연 가장 위대한 투자가 워런 버핏은 나와 같은 방식으로 기회를 탐색하는 인물이다. 다만 그는 기회를 발견하면 회사를 통째로 …
진정한 프로의 결정 – 우직지계
https://www.youtube.com/shorts/UOefU9GphOU 골프라는 영역에서 전세계의 정상을 다투는 대가가 절체절명의 상황에서 내린 저 결단을 보면서 가슴이 두근거렸습니다. 돌아가는 길이 더 빠를 수 있다는 교훈을 뜻하는 우직지계,, 다시한번 우리 가슴에 새겨야 할 교훈입니다. 만용을 부리지 말고, 조급해지지도 말고, 진정 위대한 결단은 겉으로 볼 때 화려하지 않을 수 있다는 세상의 이치를 기억합니다.
세상에는 혹세무민하는 자들이 이렇게나 많습니다.
https://youtube.com/watch?v=_xXh-pmRirY&si=EnSIkaIECMiOmarE 버젓이 논문을 내고, 그 논문 결과에 의하면 이러이러한 물질은 내 몸을 망친다,,, 이런식의 주장들이 아무런 여과 없이 언론기사들을 통해 확산되는게 요즘 세태입니다. 쓰레기 기자들은 그 논문이 제대로 된 논문인지, 그런 주장을 하는 사람이 제대로 된 전문가가 맞는지 확인하려는 노력을 전혀 하지 않습니다. 그저 그 주장이 선정적이고 사람들의 관심을 불러일으켜서 조회수만 올려준다면 아무런 문제가 없는거지요. …